반응형 전체 글11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1. 감상 및 제목에 대하여 예전에 이 영화를 보다가 초반에 포기한 적이 있다. 제목을 봐서는 노인 복지 관련 영화이겠구나 생각했다. 또한 노인과 관련하여 노인의 경험을 통하여 삶의 지혜를 얻을 수 있는 영화이겠구나 생각했다. 그런데 알 수 없는 살인이 반복되며 이해할 수 없어서 보는 것을 그만두었던 것이다. 그런데 어디서 꼭 보아야할 영화 목록에 있는 것을 보고 이 영화가 그렇게 명작이었나 하는 생각에 다시 보게되었다. 먼저 제목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목은 아일랜드의 시인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시 ‘비잔티움으로의 항해(Sailing to Byzantium)’의 첫 구절 'That is no country for old men'에서 가져온 것이다. 뜻은 ‘(세상이 많이 바뀌고 .. 2023. 4. 21.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 홍길동전 역적 – 백성의 마음을 훔친 도적 일반적으로 아무개를 말할 때 홍길동을 자주 사용한다. 그 만큼 홍길동은 우리 민족에게 있어 매우 잘 알려져 있고 친근한 이름이다. 허균의 홍길동과 드라마 역적에 나오는 홍길동의 이야기가 100% 일치하지는 않으나 두 이야기가 말하려는 것은 같은 것이다. 신분제가 얼마나 인간의 기본권을 침해하는지 말이다. 노비는 사람이 아니라 양반 주인이 사고 팔 수 있는 재산으로 취급되었다. 이 얼마나 참담하며 비극적인 일인가? 양반 주인이 사람인 노비를 마음대로 할 수 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신분제가 폐지된 것이 겨우 2백여년 전 이라는 것이다. 오랜 인류 역사를 생각할 때 노비 등 신분제가 없어진 것이 최근인 것이다. 현재의 사람들에게는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불과 2백여년 전.. 2023. 4. 21. 공주의 남자 & 경혜공주 공주의 남자 - 경혜공주 1 드라마 사극 공주의 남자를 보고 이 드라마의 주인공은 김종서의 아들 김승유(박시후)와 세조의 딸 이세령(문채원) 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김종서의 아들은 세조가 왕위를 찬탈하는 과정에서 사망하였으므로 이 드라마의 김승유는 가상의 인물이다. 드라마의 주인공들이니 이들의 이야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내가 주목한 것은 역사적으로 실존 인물인 경혜공주이다. 경혜공주는 세종의 손녀이자 문종의 딸이다. 경혜공주는 궁궐에서 가장 사랑받은 공주로 전하여진다. 아버지 문종으로부터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러나 문종이 사망한 이후 경혜공주의 삶은 궁궐에서 가장 사랑받는 존재에서 너무나도 큰 역경과 고통을 받는 삶을 살게 된다. 세조의 왕위 찬탈과정에서 단종이 사약을 받아 사망하여 경혜공.. 2023. 4. 20. 철도안전관리 시행세칙 철도안전관리 시행세칙 [발령일: 2020.07.13. / 시행일: 2020.07.13.]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세칙은 「철도안전보건관리 규정」에 따라 철도안전관리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이 세칙은 「철도안전보건관리 규정」의 범위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과 그에 준하여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에게 적용한다. 제3조(정의) 이 세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지적확인 환호응답”이란 대상물을 손가락(검지)으로 가리키며 눈으로 상태를 확인하고 지적 대상물 명칭이나 현재 상태를 소리 내어 외치고 주변 직원들이 복창하는 것을 말한다. 2. “음주”란 「주세법」 제4조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질을 마시는 것을 말한다. 3. “약물”이란 「.. 2023. 4. 15.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